1. 복잡한 감정과 맥락을 읽는 기술
포커스 그룹의 목적은 사람과 시스템에 대한 ‘이해’입니다. 특히 계량적인 크기나 정도에 기반한 이해가 아니라, 복잡하고 주관적인 의사나 태도에 관한 이해입니다. 포커스 그룹이 주 연구 방법의 사전 조사, 예비 조사, 또는 사후 조사로 많이 활용되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이 방법은 특정 대상에 대한 사람들의 가치 체계, 욕구, 감정 등을 이해하거나, 특정 행동의 이유와 동기 등을 파악하는 데 주로 사용됩니다. 특히 이성적 판단뿐 아니라 감성적으로 느끼는 부분까지 탐색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활용도가 높습니다.
포커스 그룹은 개인이나 집단의 경험과 관점을 넘어, 사람과 대상 간의 관계나 맥락을 통해 더 넓은 시장(시스템)을 이해하는 데에도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혁신적인 신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거나, 전혀 다른 시장에 진입할 때, 이해와 탐색을 목적으로 포커스 그룹이 자주 활용됩니다.
또한, 포커스 그룹은 연구자가 직면한 문제에 대해 이해관계 당사자의 관점 또는 제 3자의 시각에서 대안을 제시하거나, 연구자가 제안한 방안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기도 합니다. 제품과 서비스 개선, 새로운 아이디어 도출, 정책 개발을 위한 다양한 조건과 편익·불편익 평가 등에서도 포커스 그룹은 유용하게 쓰입니다.
2. 연구자의 안목이 결정짓는 깊이와 방향
포커스 그룹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데 있어 연구자의 경험과 통찰이 중요한 이유는, 그 목적과 활용 방안에 따라 사전 단계에서의 철저한 계획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의 경험과 관점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자 할 때는, 포커스 그룹의 실행 방향 자체가 보다 심층적인 정보 획득을 목표로 설계되어야 합니다. 이때는 참여자들이 자신의 생각을 충분히 숙고하고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주제나 질문이 '집중화'되고 '심층화'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반대로 사람과 대상의 관계, 사회적 맥락, 시스템을 이해하려는 목적이라면, 참여자들의 사고 범위를 넓히고, 다양한 요소들 간의 연결이나 관계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조사 설계를 구성해야 합니다. 이는 보다 포괄적인 인식의 전환과 확장을 유도하는 방향이 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