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그룹 인터뷰 설계] 4. 참여자 리쿠르팅 - ② 리쿠르팅 인터뷰

여러 방법에 의해 1차 접촉된 참여자 후보는 리쿠르트를 위한 인터뷰를 거쳐야 합니다. 리쿠르팅 인터뷰를 하는 이유는 참여 후보자가 계획된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 참여자로서 적합한가를 최종적으로 판단하는 작업입니다. 참여자 리쿠르트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이며 즉시적인 판단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연구팀 내 리쿠르팅을 담당하는 책임자(수퍼바이저)가 주로 수행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연구자가 직접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인터뷰 방법으로는 전화 인터뷰를 이용합니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가 주로 언어에 의한 의사소통을 하므로 참여 후보자의 언어적인 능력도 동시에 평가되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리쿠르팅 인터뷰는 거의 전화 인터뷰로 이루어집니다. 최근 온라인 패널이나 온라인 상에서 참여자 모집을 많이해 온라인 설문 등으로 선정조사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언어 소통 확인을 위해 이런 경우에도 반드시 전화 인터뷰가 진행되어야 합니다.

 

선정 질문을 구성하는 요소

리쿠르팅 인터뷰를 위해서는 반드시 선정조사 설문’(Screening Questions, 혹은 리쿠르팅 가이드라인)를 구성해야 합니다. 선정조사 설문 구성은 아래 제시한 그림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형식은 설문지법에 의한 전화 인터뷰 설문지 형식을 갖추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 정량조사 설문지가 이용된다는 것이 생경할 수도 있습니다만 정량조사 설문지 형식을 갖추는 것은 참여 대상자의 신분과 상태, 참여자 조건에 맞는지에 대한 여부 등을 명확하게판단하기 위해서입니다. 거주지역, 직업, 조건 확인 정보(월 사용 횟수 등)들은 가급적 프리 코드를 이용한 폐쇄형 질문으로 구성하고 필요 시 개방형 응답을 부가적으로 사용합니다.

 선정조사 설문을 구성하는 요소는 일반적으로 세가지 유형으로 구분합니다. 첫 번째는 참여자의 기초정보입니다. 성별, 연령, 거주지, 직업 등 흔히 말하는 인구통계적 질문을 통해 포커스 그룹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정보들을 알아봅니다. 앞서 말했지만 직업이나 거주 형태 등과 같이 포커스 그룹 진행 시 참고할 필요가 있는 정보는 폐쇄형 질문뿐 아니라 구체적인 정보를 요구해 확인하기도 합니다. ‘하시는 일이 무엇인가요?’ 라는 질문으로 사무직이라는 응답을 얻었다면 구체적으로 직장명이나 하시는 일은 무엇인가요?’ 등과 같이 구체적인 정보를 요구하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포커스 그룹을 진행하면서 참여자의 다양한 정보가 참여자 개인의 환경이나 맥락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휴대폰 구매 시 소비자 행동을 파악할 때 단순히 사무직 종사자의 구매 행동을 분석하는 것보다 ‘OO은행 외환 딜러의 구매 행동을 분석하는 것이 더 풍부한 정보나 심층적인 정보로 구성할 수 있기 떄문입니다.

 

조건 충족 이외에 부가적인 정보도 확인되어야 합니다.

이와 같은 이유로 필수적인 참석자 조건 정보나 그룹 구성 정보를 파악하는 질문 이외에 조사 대상과 관련된 부가 정보도 같이 조사해야 합니다. 만약, 휴대폰 구매 행동을 위한 포커스 그룹의 참여자 조건이 최근 3개월 내 휴대폰을 구매한 30대 직장인이라면 단지 ‘3개월 내 휴대폰을 구매했는지’, ‘연령이 30대인지’, ‘현재 직장에 다니고 있는지만 물어보는 것이 아니라 참여자의 구매 상황을 이해할 수 있도록 부가정보나 Profile 정보 등도 같이 파악해야 합니다. ‘구입한 휴대폰의 브랜드와 모델명은 무엇인지’, ‘기기변경인지 번호이동인지, 추가구매인지’,‘구입 가격과 구입 조건은 무엇인지’, ‘이전 휴대폰은 어느 브랜드이며, 사용기간이 얼마였는지’, ‘통신사와 월 이용요금은 얼마인지’, ‘통상 얼마만에 휴대폰을 교체하는지’, ‘어디서 구매했는지등이 부가정보나 Profile 정보라 하겠습니다. 즉 포커스 그룹의 선정 조사는 참여 대상자가 조건에 맞는 대상자인지 확인한 것 뿐 아니라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는 모더레이터나 연구자가 개인의 환경과 맥락을 이해하고 좌담회때 불필요한 질문을 줄일 수 있는 사전 정보용으로도 활용합니다.




Scro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