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더레이터] 1. 모더레이터(Moderator)란?

모더레이터(Moderator)는 포커스 그룹을 진행하는 통제자를 말합니다. 통상 좌담회의 사회자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포커스 그룹의 참여자들과 직접 소통하며 인터뷰를 진행하는 책임자로서 그 역할은 매우 명확하고 가시적입니다. 포커스 그룹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모더레이터의 중요성은 더할 나위 없이 큽니다. 포커스 그룹의 성패를 가르는 사람이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조사·연구의 관점에서도 연구진의 핵심 역할을 맡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본 장에서는 모더레이터의 정의와 역할을 설명하고, 모더레이터가 갖추어야 할 소양과 주의사항 등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통제와 계획 다른 진행자들과의 차이점

간혹 블로그나 온라인 자료에서 포커스 그룹의 모더레이터를 퍼실리테이터(facilitator)와 혼동하거나 혼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우리말로는 둘 다 사회자 또는 진행자로 번역될 수 있지만, ‘모더레이터퍼실리테이터는 방법론적 차원에서 사용될 때는 철저히 구분되어야 합니다.

모더레이터는 참여자들의 발언과 행동 등 포커스 그룹 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상호작용을 통제하고 관리합니다. 사전에 계획된 구조에 따라 질문하거나 테스크를 수행합니다. 다소 극단적인 표현일 수 있지만, 포커스 그룹 내에서 모더레이터는 무소불위의 통제자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모더레이터의 진행이나 의사에 반하여 참여자들이 자의적으로 행동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실제로 드물지만 통제를 거부하거나 고의적으로 회피하는 참여자가 있을 경우 인터뷰가 중단되거나 해당 참여자가 퇴장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처럼 포커스 그룹에서는 모더레이터의 관리와 통제 권한이 매우 강하게 작용합니다.

반면, 워크숍이나 교육, 브레인스토밍 등 협력적 목적의 그룹 활동을 이끄는 퍼실리테이터는 참여자의 자발성과 협력, 집단적 결정과 몰입을 유도하는 역할에 초점을 둡니다. 앞서 언급한 포커스 그룹의 목적과 특성을 고려할 때, 포커스 그룹의 사회자를 퍼실리테이터로 부르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또 하나의 차이는 계획성입니다. 가끔 모니터 룸에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참관하고 있으면 모더레이터가 특정 참여자를 몰아붙이는 것처럼 보이는 순간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별로 사용하지 않는다면서 또 구매하셨어요?”

처음에는 호감이 간다고 하셨는데 왜 부정적인 표현을 계속 사용하시죠?”

좋다고 하셨지만 경쟁사보다 가격이 10% 비싸지면 어떻게 하시겠어요?”

이러한 압박 질문들은 대부분 계획된 질문이거나 참여자의 태도를 명확히 파악하기 위해 준비된 진행 기술입니다. 그 목적은 조사와 연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것이며, 인터뷰의 설계 단계에서부터 철저히 준비된 질문입니다.

 

모더레이터의 정의

David L. Morgan은 모더레이터의 역할을 그룹 내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풍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고, KruegerCasey허용적이고 위협적이지 않은 환경에서 계획된 토론을 이끄는 자로 설명합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정의와 견해가 존재합니다.

저는 모더레이터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자 합니다:

그룹 토의의 진행자로서 참여자들의 상호작용을 관리하고, 연구 목적에 부합한 유의미한 응답의 도출을 위해 이슈나 아이디어를 소개하고 자극하는 자.”김민영

 

제가 제시한 이 정의에는 모더레이터의 핵심 역할이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 가장 적합한 역할 정의라고 생각합니다최근에는 포커스 그룹이 다양한 연구 방식으로 변형·진화되고 있습니다. 그에 따라 모더레이터에게 요구되는 역할도 함께 변화하고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점들을 참고하시어 이해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모더레이터의 구체적인 역할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Scro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