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그룹 구성을 설계할 때 연구자나 조사자가 가장 흔하게 범하는 오류는, 제한된 그룹 내에 다양한 참여자들을 가급적 많이 초대하려고 구성하는 것입니다. 제한된 범위 내에서 보다 많은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 마음은 잘 이해됩니다. 하지만 포커스 그룹의 목적과 특성을 고려하면 ‘많은 정보’보다 ‘심층 정보’에 중점을 두어야 합니다.
참여자가 8명이면 여러 주제에 대해 개인별로 프로빙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합니다. 적극적이거나 관심 있는 몇 명만 심층적인 프로빙이 가능할 뿐입니다. 실제로 집중적이고 심층적인 이해나 발견이 이루어진 그룹들은 대부분 참여자가 상대적으로 적은 그룹이나 프로젝트였던 기억이 많습니다.
그룹 구성 시 반드시 명심해야 할 주의사항을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그룹 간 특성은 명확하게 구분해야 합니다.
동일한 집단의 단일 특성 설계라 하더라도, 그룹 간의 특성은 명확히 구분되어야 합니다. 성별, 연령대별, 직업 유형별, 거주 지역별 등 기본적인 인구 특성의 분리만으로도 다른 정보들을 읽을 수 있습니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서 그룹을 나누어 설계하는 이유는 ‘참여자 수가 제한되어서’가 아니라 ‘비교를 위해서’라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2) 그룹 내 참여자는 동질성을 유지해야 합니다.
그룹 내 참여자들은 인터뷰 또는 토의 주제에 대해 동질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서로 다른 이해관계가 있거나 기본 관계가 다른 경우, 목적하는 정보를 얻는 데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성별이나 연령대, 직업군 등 일반적인 인구 특성도 가급적이면 동질적인 참여자로 구성하는 것이, 보다 원활한 포커스 그룹 진행을 위해 바람직합니다.
3) 관여 수준이 높을수록 참여자 수를 줄여야 합니다.
주제에 대한 관여 수준이 높고 전문성이 높을수록, 참여자들이 제시하는 태도나 의견을 구성하는 정보가 많아지고 복잡해집니다.
참여자 개개인에 집중해야 할 상황이 많아지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일반인 그룹에 비해 참여자 수를 줄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4) 모든 참여자의 고른 참여를 전제해야 합니다.
포커스 그룹에서는 특정 몇몇 참여자의 활발한 참여보다, 모든 참여자의 고른 참여가 더 효과적인 결과를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FGI 진행 가이드라인의 분량이나 제한 시간을 고려할 때, 반드시 모든 참여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전제하고 그룹을 구성해야 합니다.
5) 상호작용을 방해할 요소를 사전에 제거해야 합니다.
포커스 그룹의 중요한 요소인 ‘상호작용 효과’를 저해할 요소는 사전에 제거되어야 합니다. 참여자들의 사회적 수준 차이가 크거나, 서로 아는 사이인 경우, 상대방을 의식하여 발언이 위축될 수 있습니다.
참여자 리쿠르팅 과정에서 이러한 점들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