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더레이터(Moderator)의 역할이 무엇이냐고 질문한다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는 진행자’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한 진행자라고 표현하기에는 포커스 그룹에서 모더레이터의 중요성을 담아내기 어렵습니다. 단순한 진행 그 이상의 역할이 있습니다. 저는 모더레이터의 역할을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해 보았습니다.
1. FGI 진행과 통제
모더레이터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의 시작부터 종료까지 전 과정의 ‘유일한’ 진행자이자 통제자입니다. 포커스 그룹에 참여한 참여자들이 편안하고 안정된 상태에서 해당 주제에 대해 인터뷰하거나 토론할 수 있도록 이끄는 가장 큰 책임을 가지고 있습니다. 수도 없이 말하지만, 모더레이터의 진행 능력이나 역할에 따라 정보의 질과 양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참여자들은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 참여하면서 모더레이터의 외모와 인상, 말투와 표정 등을 예의주시하며, 점차 모더레이터를 의지하게 됩니다. 이때 적극적인 참여와 솔직한 태도를 유도하고 유지하도록 지속적으로 동기 부여하는 것이 모더레이터의 중요한 역할입니다.
제가 ‘유일한’이라는 형용사를 강조한 이유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가 진행되는 그 시간 동안에는 오직 모더레이터만이 인터뷰를 진행하고 통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설령 FGI를 모니터링하고 있는 연구 책임자가 특정한 문제로 인해 인터뷰에 개입하거나 중단시켜야 할 상황이 생기더라도, 모더레이터와 협의하여 모더레이터에 의해 이루어져야 합니다.
2. 연구 목적을 위한 질문과 자극
모더레이터는 연구자(또는 연구진)와 참여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 경로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시험자–피험자’ 관계로 보기도 합니다. 이 경우 모더레이터는 시험자의 대리인으로서 질문과 자극을 통해 참여자들을 시험할 수 있습니다.
이는 앞서 언급한 ‘계획성’이라는 특징과도 연결됩니다. 모더레이터는 수시로 동의 질문과 반대 질문을 던지며 참여자의 인식과 태도를 확인하고, 다른 참여자들의 동의/비동의 여부를 이끌어내어 발화자의 의견이 가지는 강도와 논리를 파악합니다.
또한 소비자 조사에서는 다양한 투사법을 활용하여 참여자들의 생각이나 의견을 은유적이고 간접적으로 파악합니다. 물론, 사전에 계획된 질문과 자극을 정확하게 수행해야 할 뿐 아니라, 현장 상황에 따라 즉흥적으로 질문이나 자극을 조정할 수 있는 능력도 필요합니다.
3. 참여자 개인과 그룹의 상호작용
포커스 그룹의 특징이자, 다른 정성조사 방법과의 차별성은 바로 ‘상호작용 효과’에 있습니다. 이 상호작용을 이끌고 유도하는 것이 모더레이터의 중요한 역할입니다.
모더레이터는 참여자 개개인의 반응과 태도를 파악하여 서로의 상호작용을 자연스럽게 유도합니다. 예를 들어, 다른 참여자들의 말과 행동을 주의 깊게 듣도록 독려하거나, 특정 의견에 대해 다른 의견을 유도하거나 의문을 제기하도록 자극할 수 있습니다.
특정 이슈에 대해 찬반을 나누거나, 아이디어를 떠올릴 수 있도록 연상 질문이나 자극 멘트를 활용하기도 합니다. 단순히 상호작용을 많게 만드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발언을 통해 자신의 기억, 행동, 태도, 신념을 더욱 명확히 표현하도록 돕는 것이 상호작용의 핵심입니다.
4. FGI 결과 해석
포커스 그룹 인터뷰가 끝난 후, 스크립트 정리나 자료 분석, 보고서 작성 등은 흔히 연구자나 조사자의 몫으로 여겨집니다. 하지만, 유의미한 연구가 되기 위해서는 모더레이터가 연구자와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결과 해석에 참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각 그룹의 인터뷰가 종료되면 모더레이터와 연구진이 함께 참여하는 랩업(Rap-up) 미팅을 통해 참여자들의 반응과 핵심 의견을 정리합니다. 그 외에도 디브리핑(debriefing), 톱라인(top-line) 보고서, 모더레이터 일지, 분석 토론회 등 다양한 형식으로 모더레이터의 의견이 중요한 분석 자료로 활용됩니다.